본문 바로가기
AI story

CPU와 GPU 그리고 NPU

by rachel K 2025. 5. 18.

 


1. CPU vs GPU: 기본 개념 비교

CPU GPU 비교 자세한 설명, 발전사 
 


CPU와 GPU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연산 장치로, 각기 다른 목적과 구조를 가지고 발전해왔습니다.
아래에 CPU와 GPU의 비교, 기능 차이, 그리고 발전 변천사를 살펴보겠습니다.


1. CPU vs GPU: 기본 개념 비교

         항목          CPU (Cen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역할 컴퓨터의 두뇌. 일반적인 모든 연산을 처리 대량의 병렬 연산을 빠르게 처리, 주로 그래픽 처리
구조 소수의 강력한 코어 (보통 4~16개) 수백~수천 개의 단순한 코어
연산 방식 직렬(Serial) 처리에 최적화 병렬(Parallel) 처리에 최적화
용도 운영체제 실행, 프로그램 처리, 논리 제어 등 3D 그래픽 렌더링, 머신러닝, 영상 인코딩, 과학 시뮬레이션 등
속도 고클럭, 복잡한 연산에서 강함 단순 반복 계산을 매우 빠르게 처리
 

2. 구조적인 차이

  • CPU: 복잡한 명령어 셋, 고성능 캐시, 분기 예측 등 다양한 기능 탑재
    • 예: 인텔 i7, AMD Ryzen
  • GPU: 수많은 연산 유닛으로 구성된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SM)
    • 예: NVIDIA RTX, AMD Radeon

3. 발전 변천사

1980~1990년대: 시작기

  • CPU: 인텔 8086, 펜티엄 등장. 직렬처리 중심
  • GPU: 초기에는 ‘그래픽 카드’가 단순히 2D 가속만 처리

2000년대 초: 전문화 시작

  • CPU: 멀티코어 등장 (듀얼코어, 쿼드코어)
  • GPU: NVIDIA GeForce 256 (1999) → 최초의 GPU 명명.
    • 프로그래머블 셰이더 등장 → 3D 게임 그래픽 가능

2010년대: 병렬 연산 시대

  • CPU: 인텔 코어 시리즈, AMD 라이젠으로 경쟁 심화
  • GPU: CUDA (NVIDIA) / OpenCL (AMD) 기술 발전 → 범용 계산(GPGPU) 가능
    • AI, 머신러닝, 블록체인 채굴, 영상 편집에도 GPU 사용

2020년대: CPU+GPU 융합 및 AI 가속기 시대

  • CPU: ARM 기반 CPU 등장 (애플 M1 등), 고효율화 추세
  • GPU: RTX 시리즈 등장 → 레이 트레이싱, AI 텐서코어 탑재
    • GPU는 딥러닝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음
  • 통합형 칩: AMD APU, Apple M 시리즈처럼 CPU+GPU 통합한 SoC 설계도 확산

4. 실생활 예시

작업CPU 중심GPU 중심
문서 작업 O X
게임 실행 O (논리, 물리 연산) O (그래픽 렌더링)
영상 편집 O (타임라인 처리 등) O (이펙트, 인코딩 가속)
딥러닝 학습 X O (수천 개 코어로 학습 가속)

 

5.  CPU와 GPU의 관계

  • CPU는 여전히 컴퓨터의 총괄 지휘자
  • GPU는 연산 집약적인 작업에서 CPU를 보조하거나 대체
  • 최신 시스템에서는 CPU + GPU + AI 전용 가속기 조합이 핵심

 


연구과제 : 

GPU/CPU 별 성능 지표 비교, 추천 제품, 딥러닝이나 영상 편집용 최적 조합 


 

 

 



CPU, GPU, NPU를 함께 비교하고, 발전사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다시 정리하면,  

 


CPU, GPU, NPU 차이와 발전사: 컴퓨터 연산의 진화

컴퓨터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연산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CPU, GPU, 그리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NPU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세 가지 연산 장치를 비교하고, 각각의 발전 과정과 활용 분야를 쉽게 풀어 설명해보겠습니다.


 

 

1. CPU, GPU, NPU란 무엇인가?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컴퓨터의 두뇌
  •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명령 처리 등 모든 논리 연산과 제어를 담당
  • 소수의 강력한 코어로 구성 (4~16개 이상)

예: 인텔 Core i9, AMD Ryzen 9, Apple M3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 그래픽과 병렬 연산의 전문가
  • 수천 개의 코어로 동시에 대량의 계산 처리
  • 주로 그래픽 렌더링, 딥러닝, 영상 처리 등

예: NVIDIA RTX 4090, AMD Radeon RX 시리즈

NPU (Neural Processing Unit)

  • AI 연산 전용 가속기
  • 인공신경망 처리에 특화되어 있어, 머신러닝과 딥러닝 연산을 극단적으로 빠르게 수행
  • 전력 효율이 뛰어나 모바일 기기에도 적합

예: Apple Neural Engine, 삼성 엑시노스 NPU, Qualcomm Hexagon


2. 구조와 처리 방식의 차이

항목CPUGPUNPU
연산 방식 직렬 (Serial) 병렬 (Parallel) AI 병렬 최적화
코어 수 적음 (고성능) 많음 (단순 코어 수천 개) 매우 단순, 전용 구조
장점 범용 처리에 강함 반복 계산에 강함 AI 연산에 특화
단점 병렬 처리에 비효율 전력 소모 많음 범용 처리 불가능
 

3. 발전 변천사

CPU의 역사

  • 1970s: 인텔 4004 →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
  • 1990s: 펜티엄 시리즈 → 대중화 시작
  • 2000s: 멀티코어 구조 도입 (듀얼코어~쿼드코어)
  • 2020s: 고성능 저전력 ARM 기반 CPU (Apple M 시리즈 등) 도입

GPU의 발전

  • 1999: NVIDIA GeForce 256 → 세계 최초 GPU
  • 2006: CUDA 등장 → GPU로 범용 계산 가능 (GPGPU)
  • 2018~: AI 전용 코어 (Tensor Core) 포함, RTX 시리즈
  • 현재: 딥러닝, 과학 계산, 렌더링, 영상 처리 등 폭넓은 활용

NPU의 등장

  • 2017: Apple A11 Bionic → 최초의 모바일 NPU (Neural Engine)
  • 2018~: 삼성, 화웨이, 퀄컴 등 모바일 SoC에 NPU 채용
  • 현재: AI 카메라, 음성 인식, 실시간 번역, 스마트 홈 등에서 활용
  • 앞으로: 엣지 AI 연산의 핵심, 저전력 AI 기기 확산

4. 언제 어떤 연산 장치가 사용될까?

작업CPUGPUNPU
문서 작업, 웹 브라우징 O X X
게임 실행 O (로직) O (그래픽) X
영상 편집, 3D 렌더링 O X
딥러닝 학습 O X
AI 추론 (모바일) O
음성 인식, 실시간 번역 X O
 

5. CPU, GPU, NPU의 미래

  • CPU는 여전히 시스템의 중심축. 앞으로도 운영체제, 논리 처리 등에서 필수
  • GPU는 AI 학습과 고화질 영상 렌더링 등에서 영향력 확대
  • NPU는 엣지 컴퓨팅, 사물인터넷, 스마트폰의 핵심으로 성장 중

미래의 컴퓨터는 이 세 가지 연산 장치가 조화를 이루며 동작하게 됩니다. 특히 AI가 일상화되면서 NPU의 비중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무리

CPU, GPU, NPU는 각각의 역할이 뚜렷하며, 함께 사용될 때 최고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본인의 사용 목적(예: 사무용, 게임용, AI 학습용, 모바일 AI 처리 등)에 맞춰 어떤 연산 장치가 중요할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